회원 로그인

갤러리 플랫폼 이용을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견우화
나혜석(Na Hye-sŏk) April 15, 1452 ~ May 2, 1519

작가소개

나혜석(Na Hye-sŏk)


나혜석(羅蕙錫, 1896년 4월 28일~1948년 12월 10일)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대한민국의 화가이자 작가, 시인, 조각가,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다. 본관은 나주(羅州)이고 아명(兒名)은 나아지(羅兒只), 나명순(羅明順)이며, 아호는 정월(晶月)이다. 일본 도쿄 여자미술학교 유화과에서 서양화를 공부한 뒤 1918년 귀국하여 화가, 작가로 활동하였으며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로도 활동하였다. 1918년에 미술학교를 졸업하고 경성부로 돌아와 잠시 정신여학교 미술교사로 지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이후 1918년 12월부터 박인덕 등과 함께 만세 운동을 준비,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가하여 5개월간 투옥되었다가 풀려났다. 그 뒤 1920년 김우영과 결혼, 그와 함께 만주와 프랑스 등을 여행하였으며 그림, 조각, 언론, 문필, 시 등에서 활동했다. 1927년 유럽과 미국 시찰을 가게 된 남편과 함께 여행길에 올라 '조선 최초로 구미 여행에 오른 여성'이라는 칭호를 얻게 됐다. 프랑스에 체류하던 중 야수파, 인상주의, 표현파 등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체류 중 최린과 염문설이 돌았고 곧 귀국 후 그림 활동에 매진하였으나, 결국 외교관 최린과의 염문으로 이혼하게 된다. 그러나 뒤에 최린과도 헤어지게 된다. 2001년 정조 취미론을 발표, 순결과 정조(貞操)는 '도덕도 법률도 아닌 취미'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자신의 아내, 어머니, 누이, 딸에게는 순결함을 요구하면서 다른 사람의 아내나 어머니, 누이, 딸에게는 성욕을 품는 한국 남자들의 위선적인 행동에 대한 비판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였고, 당사자들의 의견이 존중되지 않고 집안의 뜻에 따라 결혼하는 것에 대한 비판, 가정폭력을 일삼는 남성들에 대한 비판 등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의 유명한 신여성으로, 뛰어난 그림, 글, 시 등 다방면에 재주를 갖춘 근대 여성이었으며, 여성 해방, 여성의 사회 참여 등을 주장하였다. 박인덕, 김일엽, 허정숙 등과 함께 이혼 후 사회생활을 하는 여성으로 유명하였다.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의 한사람으로 꼽힌다. 문재(文才)도 뛰어났으며, 일본 유학 때부터 여권신장의 글을 발표한 여권운동의 선구자이기도 하였다. 연기자 나문희(본명 나경자)의 고모할머니이기도 하다.

작품소개

견우화()


『견우화』는 흔히 염상섭의 초기 3부작이라 일컬어지는 세 편의 소설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암야」는 상거래의 위선적 겉치레를 '인간대사'라 명명하는, 전통적 도덕과 자기완성이라는 목적을 잃은 (타락한) 개인주의 등에 의해 '개성의 자유로운 발현'을 억압당하고 더 나아가 그 희망의 징후조차 발견하지 못해 무력감에 빠져 있는 주인공의 암울한 고백을 펼쳐 놓았다. 다음으로「표본실의 청개구리」는 급격한 교환세계로의 진입 혹은 전 지구적 자본주의화로 인한 이념과 현실의 괴리 때문에 광증에 빠진 '김창억'이라는 인물을 매개로 더 이상 불가능한 꿈을 실현해야 하는 지식인의 우울과 환멸, 그리고 내적 갈등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제야」는 자본주의화로 인해 오염된 사회에 더욱 타락한 형태로 부정하다 결국은 몰락하는 주인공의 내면 고백을 담아놓았다. 이 세 편의 소설은 모두 타락한 현실에 타락한 방식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위선적인 세상에 위악적인 행동으로 맞서다가 스스로 자멸하는 인물들의 우울과 환멸을 '고백체'의 형식을 빌어 표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작가의 다른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