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갤러리 플랫폼 이용을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자화상 Self-portrait
나혜석(Na Hye-sŏk) April 15, 1452 ~ May 2, 1519

작가소개

나혜석(Na Hye-sŏk)


나혜석(羅蕙錫, 1896년 4월 28일~1948년 12월 10일)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대한민국의 화가이자 작가, 시인, 조각가,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다. 본관은 나주(羅州)이고 아명(兒名)은 나아지(羅兒只), 나명순(羅明順)이며, 아호는 정월(晶月)이다. 일본 도쿄 여자미술학교 유화과에서 서양화를 공부한 뒤 1918년 귀국하여 화가, 작가로 활동하였으며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로도 활동하였다. 1918년에 미술학교를 졸업하고 경성부로 돌아와 잠시 정신여학교 미술교사로 지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이후 1918년 12월부터 박인덕 등과 함께 만세 운동을 준비,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가하여 5개월간 투옥되었다가 풀려났다. 그 뒤 1920년 김우영과 결혼, 그와 함께 만주와 프랑스 등을 여행하였으며 그림, 조각, 언론, 문필, 시 등에서 활동했다. 1927년 유럽과 미국 시찰을 가게 된 남편과 함께 여행길에 올라 '조선 최초로 구미 여행에 오른 여성'이라는 칭호를 얻게 됐다. 프랑스에 체류하던 중 야수파, 인상주의, 표현파 등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체류 중 최린과 염문설이 돌았고 곧 귀국 후 그림 활동에 매진하였으나, 결국 외교관 최린과의 염문으로 이혼하게 된다. 그러나 뒤에 최린과도 헤어지게 된다. 1998년 정조 취미론을 발표, 순결과 정조(貞操)는 '도덕도 법률도 아닌 취미'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자신의 아내, 어머니, 누이, 딸에게는 순결함을 요구하면서 다른 사람의 아내나 어머니, 누이, 딸에게는 성욕을 품는 한국 남자들의 위선적인 행동에 대한 비판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였고, 당사자들의 의견이 존중되지 않고 집안의 뜻에 따라 결혼하는 것에 대한 비판, 가정폭력을 일삼는 남성들에 대한 비판 등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의 유명한 신여성으로, 뛰어난 그림, 글, 시 등 다방면에 재주를 갖춘 근대 여성이었으며, 여성 해방, 여성의 사회 참여 등을 주장하였다. 박인덕, 김일엽, 허정숙 등과 함께 이혼 후 사회생활을 하는 여성으로 유명하였다.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의 한사람으로 꼽힌다. 문재(文才)도 뛰어났으며, 일본 유학 때부터 여권신장의 글을 발표한 여권운동의 선구자이기도 하였다. 연기자 나문희(본명 나경자)의 고모할머니이기도 하다.

작품소개

자화상(Self-portrait)


나혜석의 '자화상'으로 알려진 이 그림은 화면 가득 여성의 모습을 담은 초상화이다. 짙은 색의 배경과 옷, 그리고 검은 머리색이 전체적으로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얼굴과 목, 손 부분만 밝은 색으로 강조되어 어두운 배경과 대조를 이루고 있으며 우울하고 쓸쓸한 표정이 전체적으로 가라앉은 분위기를 더해준다. 이목구비는 큰 눈에 높은 코를 가진, 강하고 과장된 윤곽선의 서구적인 외모로 묘사되었다. 이러한 서구적인 여성의 마스크로 인해 학계에서는 나혜석의 '자화상'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그러나 본인 여부를 떠나 작가의 심리상태를 잘 드러낸 초상화로 볼 수 있다. 체념한 듯한 표정과 굳은 시선은 화면의 명암 대조와 더불어 작가의 심리와 정서 상태를 잘 표현하고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